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0

파이썬 자연어 처리 패키지 rhinoMorph import rhinoMorph rn = startRhino()# 라이노 사전 객체를 불러와 rn에 저장합니다. # 이 사전을 기반으로 형태소를 분석합니다. rhinoMorph.onlyMorph_list( rn, text, *args) # 형태소(morphemes)만 processed_text에 list 형식으로 반환해줍니다. # 본인이 원하는 품사만 골라주는 pos, # 어미를 결합해주는 eomi=True, 연결된 명사를 결합해주는 combineN=True 등의 arguments가 있습니다. # 동사의 경우 뒤에 '하'를 결합해주는 xrVv=True # 연결된 명사를 결합해주는 combineN=True 등의 arguments가 있습니다. rhinoMorph.onlyMorph_list(rn, text, .. 2020. 7. 10.
[데이터 청년 캠퍼스] 경남대학교 빅리더 AI 아카데미 - Day 4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7. 10.
[데이터 청년 캠퍼스] 경남대학교 빅리더 AI 아카데미 - Day 3 아 배고프네요... 맨날 ["치킨까스", "멘치까스", "돈까스", "고구마 고로케"] 같은 밀가루 음식들이 나오는데, 한약때문에 먹지도 못하고 슬픕니다. 오전 os, openpyxl, xlrd, pandas, numpy 등의 모듈들을 배웠습니다. openpyxl과 xlrd는 엑셀 파일 불러오는 모듈인데 많이 안 써봐서 기억 안 납니다. 앞으로도 자주 검색할듯 ㅎ os는 mkdir, makedirs, gecwd, chdir, open 등등 (+encoding="utf-8") openpyxl은 load_workbook, wb["Sheet1"], sheet.max_row, sheet.cell(row= i, column=j).value pandas는 -df.sort_values(["어쩌고"], ascendin.. 2020. 7. 8.
OS, xlrd, openpyxl,예외처리 1 디렉토리 관리 # 현재 작업 디렉토리 반환 os.getcwd() os.chdir("어쩌구") - 어쩌구 디렉토리로 이동 os.listdir("어쩌구") - 어쩌구 폴더 내의 모든 파일과 폴더 목록을 반환함 os.path.exists("C:\어쩌구\저쩌구") - 입력한 경로(폴더, 디렉토리)가 존재하면 True, 없으면 False os.mkdir("C:\python\python2") - 입력한 경로 제일 마지막 폴더를 생성 (이 경우에는 python2가 생성) os.makedirs("C:\python\python2") - 입력한 경로 모두 생성함 (python, python2 폴더 모두 생성) os.rmdir() / os.removedirs() - mkdir의 반대 삭제해주는데 개발자들 삭제하는거 무서.. 2020.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