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이서2

[엘리스 AI 트랙 2기] Day 7 -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자료을 어떻게 저장하여 삽입, 삭제, 추출 등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것인가? 내가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어떤 자료구조를 써야할까? 같은 숫자도 숫자형인지, 유니코드인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배열, 연결리스트에 대해 학습했다. 스택과 큐 배열과 연결리스트를 사용하여 구현 트리 트리의 종류는 다양하게 있다. 이진트리 : 자식 노드를 최대 2개까지만 갖는 트리. 포화 이진 트리 : 모든 정점이 자식을 2개씩 갖고 모든 리프노드의 트리가 같은 트리 완전 이진 트리 : 마지막 깊이를 제외하고 모든 정점이 완전히 채워져있으며 가능한 한 왼쪽에 있는 트리 정 이진 트리 : 리프노드 제외하고 모든 노드가 2개의 자식을 갖는 트리 탐색방법은 크게 두가지이다.. 2021. 7. 4.
[엘리스 AI 트랙 2기] Day 2 - Git, Gitlab 오늘 배운 내용 - Git 명령어와 Gitlab 활용법(이슈, 마일스톤) 주요 명령어 정리 git 계정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닉넴"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 global을 빼면 각 프로젝트마다 다른 사용자로 관리할 수 있다 git 저장소 생성 git init git init을 외치는 디렉토리가 git 저장소로 변신한다. 파일 저장하기 git add#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린다 git commit# staging area의 파일을 저장한다 git status# git 관리 하의 파일들의 상태 확인 git log# repository의 history 확인 git diff# commit 파일 중 변경된 사항 비.. 2021. 6. 23.